미국 직구는 국내보다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제품 선택이 가능해 인기가 높다. 하지만 관세 및 부가세 계산 방식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높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직구 관세 계산법과 배송비 포함 여부에 따른 차이를 정리했다.
미국 직구 관세 기본 개념
미국에서 직구한 제품이 한국으로 배송될 때, 상품 가격과 배송비를 포함한 총 금액이 관세 부과 기준이 된다.
세금 종류 | 설명 | 부과 기준 |
관세 | 수입 물품에 부과되는 세금 | 품목별 0~13% |
부가세 | 부가가치세(한국은 10%) | 과세 가격(상품 가격 + 관세)에 부과 |
개별소비세 | 특정 품목(주류, 담배, 명품)에 추가 부과 | 품목별 차등 적용 |
미국 직구는 150달러 이하(배송비 포함)일 경우 면세되지만, 일부 품목은 면세 기준과 상관없이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
미국 직구 관세 계산 공식
미국 직구 시 최종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예상 세금을 계산할 수 있다.
1. 기본 과세 가격 계산
상품 가격(USD) + 국제 배송비 = 과세 가격
2. 관세 계산
과세 가격 × 해당 품목의 관세율 = 관세
3. 부가세 계산
(과세 가격 + 관세) × 부가세율(10%) = 부가세
▶ 예시 1: 200달러짜리 제품을 직구한 경우
- 과세 가격: 200달러 (배송비 포함)
- 관세(8% 적용 시): 200 × 8% = 16달러
- 부가세(10% 적용 시): (200 + 16) × 10% = 21.6달러
- 총 세금: 16 + 21.6 = 37.6달러 (약 5만 원)
▶ 예시 2: 150달러 이하 제품을 직구한 경우
- 과세 가격: 150달러
- 면세 대상이므로 관세 & 부가세 없음
배송비 포함 여부에 따른 차이
미국 직구 시 관세 부과 기준에서 배송비 포함 여부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배송 방식 | 관세 부과 여부 |
직배송 | 상품 가격 + 국제 배송비 포함하여 과세 가격 산정 |
배대지 이용 | 배대지까지의 미국 내 배송비는 포함되지 않음 |
무료 배송 | 과세 가격이 상품 가격으로만 계산됨 |
배대지를 이용하면 미국 내 배송비는 면세 적용이 되지만, 최종 국제 배송비는 포함될 수 있다.
미국 직구 관세 줄이는 팁
- 150달러 이하로 맞춰 주문하기 – 배송비 포함 여부를 고려하여 면세 한도를 활용
- 무료 배송 옵션 활용 – 과세 가격을 낮추는 방법 중 하나
- 배대지(배송 대행지) 이용 – 미국 내 배송비가 과세 기준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음
- 제품을 나누어 주문하기 – 합산 과세를 피하기 위해 분할 배송
- 제품별 관세율 확인 – 전자제품, 명품, 건강기능식품 등은 면세 기준이 다를 수 있음
미국 직구 시 상품 가격 + 배송비 포함 여부에 따라 관세 및 부가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면세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주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관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용품 해외 직구 관세 – 유모차 & 카시트 면세 기준 (0) | 2025.03.20 |
---|---|
유럽 직구 관세 & 부가세 – 구매 시 주의할 점 (0) | 2025.03.20 |
직구 TV 관세 – OLED vs QLED 추가 비용 분석 (0) | 2025.03.19 |
해외 직구 배송비 포함 관세 – 최종 결제 금액 계산법 (0) | 2025.03.19 |
의약품 해외 직구 관세 – 허용 품목 및 통관 절차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