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직구 TV 관세 – OLED vs QLED 추가 비용 분석

똑똑한 직구 2025. 3. 19. 21:33

해외 직구를 통해 TV를 구매하면 국내보다 저렴한 가격과 최신 모델을 빠르게 접할 수 있다. 하지만 관세 및 부가세 부과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많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OLED, QLED TV 직구 시 관세 및 부가세 계산법, 국가별 면세 기준, 추가 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정리했다.

해외 직구 TV 면세 기준 및 관세 부과 방식

TV는 가전제품으로 분류되며, 국가별 면세 기준이 다르다.

국가 면세 기준 초과 시 세금
미국 150달러 이하 관세 8% + 부가세 10%
유럽(EU) 100유로 이하 관세 12% + 부가세 20%
일본 16,666엔 이하 관세 8% + 부가세 10%
중국 500위안 이하 관세 15% + 부가세 13%
호주 1,000AUD 이하 부가세 10%

미국과 일본은 각각 150달러, 16,666엔 이하로 구매하면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유럽은 면세 한도가 낮아 추가 세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크다.

직구 TV 관세 계산 방법

1. 기본 과세 가격 계산

상품 가격(USD) + 국제 배송비 = 과세 가격

2. 관세 계산

과세 가격 × 해당 품목의 관세율 = 관세

3. 부가세 계산

(과세 가격 + 관세) × 국가별 부가세율 = 부가세

예시 1: 미국에서 1,500달러짜리 OLED TV 직구 시

  • 과세 가격: 1,500달러 (배송비 포함)
  • 관세(8% 적용 시): 1,500 × 8% = 120달러
  • 부가세(10% 적용 시): (1,500 + 120) × 10% = 162달러
  • 총 세금: 120 + 162 = 282달러 (약 37만 원)

예시 2: 유럽에서 1,300유로짜리 QLED TV 직구 시

  • 과세 가격: 1,300유로
  • 관세(12% 적용 시): 1,300 × 12% = 156유로
  • 부가세(20% 적용 시): (1,300 + 156) × 20% = 291.2유로
  • 총 세금: 156 + 291.2 = 447.2유로 (약 65만 원)

직구 TV 추가 비용 줄이는 팁

  1. 미국 직구는 150달러 이하로 맞춰 면세 적용 – 보조 액세서리 등을 따로 구매하여 비용 절감
  2. 배대지(배송대행지) 활용 – 미국 내 세금 면제 지역(오레곤 등)을 경유하면 추가 비용 절감 가능
  3. 무료 배송 옵션 활용 – 일부 사이트에서는 배송비가 과세 기준에 포함되지 않도록 설정 가능
  4. 할인 시즌 활용 – 블랙프라이데이, 프라임데이 등을 활용해 직구 가격 절감
  5. 제품을 나누어 주문하기 – 합산 과세를 피하기 위해 분할 배송 고려

해외 직구 TV 추천 사이트

신뢰할 수 있는 해외 쇼핑몰을 이용하면 추가 비용을 줄이고 안전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사이트 특징 면세 기준
아마존(Amazon) 다양한 모델, 글로벌 직배송 지원 국가별 상이
베스트바이(Best Buy) 미국 내 인기 전자제품 쇼핑몰 150달러
요도바시 카메라(Yodobashi) 일본 직구 추천, 신속한 배송 16,666엔
eBay 중고 및 신제품 TV 구매 가능 국가별 상이

해외 직구를 통해 TV를 구매할 경우, 국가별 면세 한도를 활용하면 관세 및 부가세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배송비 포함 여부와 국가별 세율 차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