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 관세 및 부가세 계산

똑똑한 직구 2025. 3. 22. 13:48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 세금과 통관 기준은?

건강기능식품은 해외에서 더 다양한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어 해외 직구를 고려하는 소비자가 많습니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관세, 부가세 및 통관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구매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수입이 제한되거나 통관이 거부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전에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의 세금, 관세율, 통관 기준 및 주의사항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의 관세 및 부가세 개요
  2. 건강기능식품의 HS 코드 및 세율
  3. 관세 및 부가세 계산 방법
  4.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 통관 절차
  5. 해외 직구 시 주의해야 할 사항
  6. 국내 정식 유통 제품과 비교

1.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의 관세 및 부가세 개요

해외에서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할 경우, 세금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품목 관세율 부가세율 통관 가능 여부
일반 건강기능식품 0% 10% 가능
비타민 및 미네랄 0% 10% 가능
단백질 보충제 8% 10% 가능
특정 허브 성분 포함 제품 20% 10% 일부 제한

특히 특정 허브 성분이나 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경우 통관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구매 전에 성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2. 건강기능식품의 HS 코드 및 세율

해외 직구 시 적용되는 HS 코드(국제 상품 분류 코드)에 따라 세금이 결정됩니다.

품목 HS 코드 관세율 부가세
일반 건강기능식품 2106.90-9090 0% 10%
비타민 및 미네랄 2936.90-0000 0% 10%
단백질 보충제 2106.10-2000 8% 10%
특정 허브 성분 포함 제품 2106.90-9092 20% 10%

출처: 관세청 HS 코드 분류표


3. 관세 및 부가세 계산 방법

예제 계산

  • 해외 쇼핑몰에서 건강기능식품 100달러(약 13만 원) 구매
  • 국제 배송비 20달러(약 2.6만 원)
  • 과세 가격: 100달러 + 20달러 = 120달러 (약 15.6만 원)
  • 관세: 120달러 × 0% = 0달러 (약 0원)
  • 부가세: 120달러 × 10% = 12달러 (약 1.6만 원)

따라서, 최종적으로 약 1.6만 원(부가세)만 추가로 부담하면 됩니다.

출처: 대한민국 관세청 수입세 계산기


4.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 통관 절차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으로 분류되며, 일부 성분에 따라 수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통관 절차를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구매 및 결제
    • 해외 직구 사이트(iHerb, Vitacost, Amazon 등)에서 구매
    • 배송 방법(직배송 또는 배대지 이용) 선택
  2. 배송 및 통관 신고
    • 직배송: 한국 도착 후 세관에서 검토 후 세금 부과
    • 배대지 이용: 현지에서 한국으로 발송 후 세관 신고
  3. 성분 검사 및 통관 심사
    • 성분표를 기준으로 금지 성분 포함 여부 확인
    • 특정 성분 포함 시 통관 거부 가능
  4. 세금 납부
    • 총 금액(제품 가격 + 배송비) 기준으로 관세 및 부가세 부과
    • 택배사에서 세금 납부 요청 문자 발송
  5. 상품 수령
    • 세금 납부 후 최종 배송 진행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관세청


5. 해외 직구 시 주의해야 할 사항

  1. 성분 제한 여부 확인
    • 특정 의약품 성분 포함 제품은 통관 불가
  2. 150달러 이하 구매 시 면세 여부
    • 미국 직구 시 150달러 이하이면 관세 면제(부가세는 부과)
  3. 배송비 포함 가격 기준으로 세금 부과
    • 제품 가격뿐만 아니라 국제 배송비까지 포함해 세금 계산
  4. A/S 및 반품 정책 확인
    • 해외 직구 제품은 국내 A/S가 어렵고 반품이 제한될 수 있음

출처: 한국소비자원


6. 국내 정식 유통 제품과 비교

해외 직구 제품과 국내 정식 유통 제품의 차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 항목 해외 직구 국내 정식 유통
가격 상대적으로 저렴 상대적으로 높음
세금 부가세 부과 포함된 가격
성분 제한 일부 성분 포함 시 통관 불가 국내 기준에 맞춘 제품
A/S 및 교환 어렵거나 불가능 비교적 수월

국내 제품은 가격이 다소 높을 수 있지만, 성분 제한 없이 통관 가능하고 A/S 및 교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 전에 성분 제한 여부 및 총 비용을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국내 유통사 A/S 정책


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은 부가세 10%가 부과되며, 특정 성분이 포함된 경우 통관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 전에 성분 확인과 세금 계산을 철저히 하고,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